검색해보면 ‘전 국민 55만원 지급’이라는 말도 나오고, 출생연도에 따라 요일제로 신청하라는 안내도 보인다.
그러다 보니 이런 생각이 드는 사람도 있을 거다.
“진짜 아무 조건 없이 1인당 돈을 준다는 거야? 내가 대상인지 어떻게 알아?” 결론부터 얘기하면, 전 국민 대상이고, 실제로 최대 55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다만 모두가 같은 금액을 받는 건 아니다.
소득 구간, 복지 수급 여부, 지역에 따라 차등 지급된다.
핵심만 빠르게 정리해본다.
핵심 요약
| 항목 | 내용 |
|---|---|
| 공식 명칭 | 민생회복 소비쿠폰 |
| 대상 | 전 국민 (단, 상위 10%는 일부 제외) |
| 금액 | 1인당 15만~55만 원 (소득·복지·지역 따라 다름) |
| 신청 및 지급시기 | 1차: 2025.07.21.(월) ~ 09.12.(금) 2차: 2025.09.22.(월) ~ 10.31.(금) |
| 신청 방법 | 카드사·지역상품권 앱, ARS, 주민센터 등 |
| 사용처 |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매출 30억 이하 매장 |
| 사용 기한 | 2025년 11월 30일까지 |
전 국민 지급, 근데 진짜 모두가 받는 건 아니다
뉴스에서는 ‘전 국민 지급’이라고 표현되지만, 실제로는 상위 10%는 제외 대상이다.
이른바 **소득 하위 90%**를 중심으로 지원이 가는 구조고,
복지 수급자일수록 더 많이 받는 구조다.
(안받더라도 상위 10%가 되고 싶은 마음이긴 하다…)
예를 들어 일반 국민은 기본 15만 원을 받지만,
기초생활수급자는 40만 원이 기본이고,
비수도권이나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이면 +3~5만 원이 더 붙는다.
여기에 9월부터는 2차로 10만 원이 추가돼서,
최대 55만 원까지 올라간다.
대상별 지급금 정리

신청은 어디서 하나?
방식은 꽤 다양하다.
- 온라인: 카드사 홈페이지, 지역사랑상품권 앱, 콜센터, ARS
- 오프라인: 제휴은행 창구, 읍면동 주민센터
특이한 점은, 7월 21일부터 시작되는 1차 신청은 요일제 운영을 한다는 점이다.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지정된 요일에만 신청할 수 있고,
첫 주만 제한이 있고, 이후엔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온라인 신청
-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앱
→ 삼성카드, 신한카드, KB국민카드 등 사용 중인 카드사에서 접속 - 지역사랑상품권 앱
→ ‘지역상품권 chak’, ‘제로페이’ 등 해당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앱 - 콜센터/ARS
→ 고령층이나 비대면 선호자용, 다만 전화 폭주할 가능성 있음
오프라인 신청
- 제휴 은행 영업점
→ 농협, 하나, 우리은행 등 지정 은행에서 직접 신청 가능 - 읍면동 주민센터
→ 지역상품권 방식으로 받고 싶은 사람들, 지자체 운영 중심
이건 코로나 시절 재난지원금 때와 거의 같은 방식이다.
| 출생연도 끝자리 | 신청 가능 요일 |
|---|---|
| 1, 6 | 월요일 |
| 2, 7 | 화요일 |
| 3, 8 | 수요일 |
| 4, 9 | 목요일 |
| 5, 0 | 금요일 |
예를 들어 1986년생이면 월요일, 1993년생이면 수요일에 신청해야 한다.
주말에는 요일제 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어디서 쓸 수 있나?
사용처는 방식에 따라 조금 다르다.
| 수령 방식 | 사용처 |
|---|---|
| 지역사랑상품권 | 해당 지역의 전통시장, 골목상권 가맹점 |
| 카드사 충전 (신용/체크/선불) | 연 매출 30억 원 이하 매장 (대형마트 제외) |
중요한 건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 백화점, 일부 온라인 쇼핑몰은 제외라는 점. 예를 들어 스타벅스, 이마트, 쿠팡, 배달의민족에서는 사용이 안 될 수 있다.
사칭 문자, 꼭! 조심
정부가 운영하는 정책엔 항상 스미싱 사칭이 따라온다. 특히 이번 소비쿠폰은 “현금성 지급”이라는 오해도 많아서, 꼭 이때를 틈타서 장난질 하는 놈들이 있지.
아래와 같이 링크 누르라고 하는 것들이 있다.
[정부민생소비쿠폰] 1인당 15~55만원 지급 대상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신청하세요. (xxxx.kr/XXXXX)
이 외의 형태로 ‘상품권 지급’, ‘즉시 수령’, ‘신청 마감 전 확인’ 같은 문구가 있다면 의심부터 해야 한다.
그냥 직접 공식 앱이나 고객센터 등 문의해서 하든가 방문해서 신청하는 것도 방법이니까 절대 의심스러운 링크는 누르지 않기를…
대략 어떤 것인지 알았다면 위 링크를 통해서 어디에서 쓸 수 있는지도 알아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