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번에 스텔라 블레이드가 PC버전으로 6월 12일에 출시가 되었다. 게다가 현재 인기도 많은 상황인데 PC가 아닌 노트북으로 즐길 생각이 있는 분들이 있을지 모르겠다.
이번 글은 스텔라 블레이드의 최소/ 권장 사양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에 맞는 노트북은 어떤 모델들이 있을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스테라 블레이드 최소/권장 사양

우선 스팀에서 표기한 시스템 요구사항을 살펴보면 위와 같다. 그러나 보통 여기서 말하는 최소 및 권장사양은 최소사양의 경우 “이정도면 구동됩니다” 정도고, 위 권장사양의 경우 “이 정도는 해야 중옵으로 무리 없이 즐겨요” 라고 생각하면 된다.
참고할 자료를 찾아봤을때 스텔라 블레이드 같은 경우 플레이스테이션 블로그에서 세부적인 권장사양의 표가 있었다.

- Average Performance: 평균 성능
- Graphic Presets: 그래픽 설정
위 표에서는 그래픽 설정에 있어서 해당 스펙일때 평균성능은 어느정도가 나오는 지 알 수 있다. 하, 중, 상, 최상 옵션 이렇게 4가지로 나눌 수 있겠다.
그렇다면 여기서 자신이 평균정도의 성능만 나오면 되겠다. 또는 최상옵으로도 돌릴 수 있는 노트북의 성능을 봐야겠다 싶을텐데 우선 CPU와 GPU의 경우 노트북용으로 봤을때 어떤 모델과 비슷해야 될지에 대해서 살펴보자.
노트북 CPU 성능점수 비교표
| CPU 모델 | 점수 |
|---|---|
| AMD Ryzen 7 260 | 30,015 |
| AMD Ryzen 7 7435H | 24,156 |
| AMD Ryzen 7 4800H | 18,234 |
| AMD Ryzen 7 5825U | 18,172 |
| AMD Ryzen 5 3600X | 18,156 |
| Intel Core i5-13420H @ 2.50GHz | 17,551 |
| AMD Ryzen 5 1600X | 13,027 |
| Intel Core i7-8850H @ 2.60GHz | 10,156 |
| Intel Core i5-8400 @ 2.80GHz | 9,223 |
| Intel Core i5-8400H @ 2.50GHz | 7,559 |
| Intel Core i5-7600K | 6,805 |
요즘 CPU로 봤을때 노트북도 CPU의 경우에는 요즘 나오는 노트북이라면 큰 문제없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노트북의 발열관리 및 TGP 등의 이유로 넉넉하게 가져가 주면 좋기 때문에 라이젠7 7000번대 시리즈 이상으로 가주면 좋을 것 같다.
하지만 그래픽 카드가 문제다.
노트북 GPU 성능점수 비교표
| GPU 모델 | 점수 |
|---|---|
| GeForce RTX 5090 Laptop GPU | 30,324 |
| Radeon RX 7900 XT | 28,974 |
| GeForce RTX 5080 Laptop GPU | 27,856 |
| GeForce RTX 3080 | 25,096 |
| GeForce RTX 4080 Laptop GPU | 24,993 |
| Radeon RX 6700 XT | 19,804 |
| GeForce RTX 5060 Laptop GPU | 18,897 |
| GeForce RTX 2070 SUPER | 18,177 |
| GeForce RTX 4060 Laptop GPU | 17,503 |
| GeForce RTX 2060 SUPER | 16,456 |
| Radeon RX 5700 XT | 16,309 |
| GeForce RTX 4050 Laptop GPU | 14,448 |
| GeForce GTX 1060 | 10,083 |
| Radeon RX 580 | 8,814 |
확실히 그래픽카드에서 꽤 우수한 스펙을 갖춰야 하는데 노트북인 것을 감안해서 중옵, 상옵 정도로 돌리려고 한다면,
✅ 중옵: GeForce RTX 4060 Laptop GPU
✅ 상옵: GeForce RTX 5060 Laptop GPU
이 정도 모델로 노트북을 찾아보는게 좋을 것 같다. 그 이상의 그래픽카드가 탑재된 노트북을 찾게 된다면 그때부터는 가격적으로 너무 가성비가 떨어지기 때문에 노트북을 포기하고 데스크탑을 생각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GeForce RTX 4060 모델

레노버 LOQ
가성비가 뛰어나기로 인기가 많은 레노버의 LOQ시리즈 중에 RTX 4060모델이 탑재된 경우 꽤 여러가지의 고성능 게이밍을 어느정도 즐길 수 있다.
게다가 디자인도 꽤나 심플한 편이기 때문에 나처럼 무난한 디자인이 최고라고 생각한다면 이 노트북의 디자인이 나쁘지 않다. CPU는 라이젠 7 7000번대가 들어간 모델로 앞서 말했듯이 CPU도 딱 스텔라 블레이드의 성능에 맞춰서 어느정도 즐길 수 있을 만한 스펙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옵션 정도로만 즐길거라면 100만원 초반대로 가성비 좋은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추천 모델: 레노버 LOQ 15ARP9
GeForce RTX 5060 모델

HP 오멘
HP오멘의 경우도 게이밍 노트북으로 인지도가 높은 제품인데 가격대는 있는 편이다. 하지만 HP에서 게이밍으로 나오는 빅터스의 상위 버전으로 보면 되고, 이번에 추천하는 모델은 램이 32GB에 1TB SSD가 탑재되었다.
한마디로 말해서 오멘같은 경우에 “이왕 살거 좀 괜찮은거로 사서 오래 쓰자” 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의 경우 게이밍 노트북임에도 WQXGA, 240Hz에 100% sRGB로 디스플레이가 구성되었기 때문에 게임 말고도 영상 제작이나 시청, 디자인 작업등으로 다재다능한 노트북이라고 볼 수 있다.
추천 모델: HP 오멘 TPN-Q304_A
참고로 이 모델은 윈도우가 탑재된 모델이다.
GeForce RTX 5050 모델

에이수스 TUF
오멘보다는 더 저렴하고 LOQ와 오멘 둘 사이정도의 스펙을 원한다면 에이수스 터프 모델도 괜찮다.
CPU도 라이젠 200번대 모델인 Ryzen7 260 모델이 들어갔고, 그래픽 카드의 경우에는 RTX5060보다 조금 떨어지는 5050모델이 탑재되었기 때문에 어느정도 가격과 성능으 타협하는 모델이라고 보면 된다.
다만, 램이 16GB, SSD는 512GB가 탑재 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도 해상도와 주파수가 더 떨어진다는 점이 있어서 스펙적으로는 당연히 오멘이 훨씬 낫다.
이런걸 감안했을때, 30 ~40 만원 정도 차이가 나는것 같은데, 나는 개인적으로 차라리 이정도 금액대라면 오멘을 선택할 것 같다.
추천 모델: 에이수스 TUF FA808UM-S8031



